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ChatGPT야, 트렌드 수집 어떻게 해?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6. P'letter 구독 : 트렌드 리포트부터 빅데이터 활용한 마케팅 키워드 분석, 핵심 마케팅 이슈 큐레이션까지, 마케팅 담당자에게 필요한 핵심 정보를 듣고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트렌드 카드뉴스부터 PlayD 자체 솔루션을 활용한 키워드 분석, 고급 인사이트를 녹인 업종별 리포트까지 모두 담아낸 P'letter! 이번주도 트렌드 수집은 P'letter랑 함께하세요!😘
드디어 해제된 실내 마스크!
마스크 의무화가 해제되면서 색조 화장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났어요. 이에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던 뷰티업계에 드디어 봄바람이 불고 있다는데요.

틴트·아이섀도우·블러셔 등의 색조 메이크업 수요 증가는 물론, '얼리 안티에이징'과 '비건' 키워드도 함께 부상한 모습이에요. 이번 VOICE Trend 리포트 2월호에서는 노마스크 시대가 찾아오면서 더 화사해지고, 더 건강해져서 돌아온 뷰티업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친환경과 비건 트렌드가 핫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뷰티업종에서 '샴푸바'에 대한 인기가 심상치 않아요. 사용하고 버릴 쓰레기도 없는데다가 성분과 패키징 모두 '비건'이라 소비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어요. 이에 환경 인디 브랜드를 넘어 대기업까지 '샴푸바' 시장에 가세하며 힘을 쏟고 있는데요. 2023년 노마스크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떠오른 뷰티업종 트렌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2023 VOICE Trend 2월호 뷰티업종에서 확인해보세요! 
겨울이 가고 본격적으로 봄을 알리는 3월! 동시에 새학기 시즌이기도 하죠.
3월에는 어떤 업종과 키워드들을 주목해야할까요?

첫 번째로는 학생증과 주민등록증 발급을 위해 찾는 '증명사진' 입니다. 내가 있는 장소와 가까운 곳 중에서 리뷰가 좋은 곳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니 광고하실 때 '지역명'을 꼭 활용해야해요. 두 번째로는 '묘목'인데요. 지구온난화로 인해 나무심기는 4월보다 3월이 더 알맞다고 해요. 최근 식물 시장이 커지면서 온라인 구매도 늘었지만, 아직 오프라인 구매하는 사람이 많으니 키워드 광고를 진행할 때 문구나 소재에 위치 정보를 넣어주세요!

3월에는 크고 작은 이벤트들이 많아 마케팅 키워드를 더 신경쓰셔야겠는데요.
3월달에 떠오를 키워드와 마케팅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콘텐츠 전문을 확인하세요!
나이가 많을수록 카카오톡·유튜브·인스타그램에 나오는 광고를 더 많이 클릭👇하고 더 많이 구매한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나이 1살이 늘어날 때마다 광고 클릭 경험이 1.12배가 늘었다고 해요. 유튜브는 1살 더 먹을수록 제품 구매 확률이 1.1배 더 높아졌는데요. 성별로 보자면 광고 클릭 후에 실제 구매로 이어질 확률은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어요. 즉, 연령이 높을수록 광고 클릭률이 높고 여성일수록 제품 구매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어요.
경기 침체로 가성비 상품 찾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가성비 전략도 시대에 맞게 진화✨하고 있어요. 일반적으로 '가성비'라 하면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비교적 괜찮은 것을 선택하는 소비 행태인데요. 최근 '본래 갖고 싶은 제품을 어떻게든 취하는 행동'을 정의하는 '가성비 2.0' 개념이 생겨났어요. 소비 금액을 줄인다는 점은 닮았지만, 소비 지출을 전략적으로 관리한다는 점에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죠. 점점 똑똑해지는 소비자에 맞춰 이제 성능을 낮추고 가격을 조절하기 보다는 비싼 제품은 비싼대로, 값싼 것은 값싼대로 구매 이유😎를 분명하게 제시해야할 것 같아요. 
엔데믹으로 사람들의 외부활동이 늘어나면서 홈쇼핑업계에는 적색등📍이 켜졌어요. CJ온스타일·GS리테일·롯데홈쇼핑·현대홈쇼핑 모두 지난해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는데요. 대안으로 꼽았던 온라인 시장이나 라이브커머스 시장에도 눈에 띄는 성과가 없었던 것으로 보여요. 홈쇼핑 송출료는 꾸준히 인상되는데 말이죠. 홈쇼핑 관계자는 홈쇼핑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다양한 신사업에 진출하고 있지만, 마땅한 대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요.
지금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바드, MS의 검색엔진 '빙'에 대한 경쟁구도🔥가 정말 치열해요. 같은 질문을 했을때 AI챗봇의 반응을 살펴보았는데요. '3개월 간 10kg을 감량하고 싶은데 운동과 식사 계획을 세워달라'는 질문에 챗GPT는 망설임없이 운동 루틴과 식사 계획을 내놨지만, 빙 챗봇은 '공인된 개인 트레이너가 아니기에 전문적인 조언이 어렵다'고 답했어요. 구글 바드도 빙처럼 객관적인 방식의 답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돼요. 그렇다고 빙과 바드를 의심하기엔 일러요. 실시간 데이터 반영도 중요하기 때문이죠. 챗GPT는 2021년까지의 데이터💬만 학습한 반면, MS의 빙은 1시간 전까지의 데이터를 반영해요. 어떤 AI챗봇이 더 정교하고 신뢰도가 높을지는 앞으로 꾸준히 지켜봐야할 것 같아요.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PLAYD
pletter@playd.com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359번길 11, 5층 1566-3265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