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 지금 보이는 맥도날드 한 조각 사세요!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지금 보이는 맥도날드 한 조각 사세요!
■ Z세대 감성 자극, AI 기반 마케팅 확대
■ 카카오 브랜드 메시지로 매출을 바꾸는 법
 퍼스트 스크린으로 진화하는 '유튜브'

은행 광고라고 하면 딱딱한 숫자와 복잡한 금융 용어로 가득할 거라 생각하셨나요? 캐나다 TD뱅크가 그 고정관념을 깨트렸습니다. 고가 주식 앞에서 주눅 든 예비 투자자들을 겨냥한, 쉽고도 파격적이었던 이번 옥외광고 캠페인! 과연 어떤 전략이었을까요? 지금부터 살펴봅니다💰


👀 지금 보이는 맥도날드 한 조각, 코카콜라 한 조각 사세요!

TD뱅크의 옥외광고 아이디어는 단순하면서도 창의적인데요! 구글, 코카콜라, 맥도날드 같은 글로벌 브랜드 간판 바로 옆에 광고판을 세우고, 그 광고판 윗부분에 작은 창을 만들어두었습니다. 사람들이 그 작은 창을 통해 대형 브랜드 간판의 '일부분'만 볼 수 있도록 연출했습니다. 광고판에는 'Own a piece of it'이라는 메시지도 함께 적혀 있었는데요. 브랜드의 일부분만 보이게 해, '소수점 주식으로 브랜드 일부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보여준 것이죠. 사람들이 매일 지나다니는 거리에서 자연스럽게 투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똑똑한 전략이었습니다👏🏻


이번 캠페인의 진짜 혁신은 어렵고 딱딱한 금융 광고의 공식을 완전히 뒤바꾼 데에 있습니다. 복잡한 투자 용어 대신 누구나 아는 거리 풍경을 활용했고, 친숙한 브랜드를 통해 주식 투자를 쉽고 재미있는 경험으로 바꿔놓았죠. 어려운 서비스일수록 일상적 경험과 연결시켜 설명하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소통 도구가 될 수 있는지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여러분도 복잡한 서비스를 고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광고) [웨비나] 📢 카카오 브랜드 메시지로 매출을 바꾸는 법

클릭률 높은 광고, 브랜드 메시지로 가능할까요? 🤔

카카오톡 광고 끝판왕, 새롭게 출시된 브랜드 메시지!

실전 성과와 활용 전략을 공개합니다.


✅ 실제 브랜드들이 경험한 전환 · ROAS 향상 사례
 어떤 메시지가 효과 있었는지, 어떤 조건이 중요했는지
 브랜드 메시지 효과를 최대화하는 3가지 포인트


👉 카카오 광고는 익숙해도 ‘브랜드 메시지’는 처음이라면, 이 웨비나가 딱입니다.

✔ 퍼스트 스크린으로 진화하는 유튜브

모바일 중심의 '세컨드 스크린'으로 인식되던 유튜브가 이제 거실 TV에서 가장 먼저 켜지는 '퍼스트 스크린'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닐슨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미국 내 TV 전체 시청 시간 중 유튜브가 차지한 비중은 12.8%로 단일 플랫폼 중 1위를 기록했는데요. 넷플릭스(8.3%), 디즈니+(4.8%)와의 격차도 뚜렷합니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숏폼 기반 AI 알고리즘이 Z세대의 '무한 스크롤' 습관을 거실 TV로 옮기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광고 기반 무료 콘텐츠, 숏폼 크리에이터 영상, 유료 실시간 채널 '유튜브 TV'까지 3중 수익 모델을 구축해 지난 2분기 광고 매출이 9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3.9% 증가했습니다🚀 업계는 이를 단순 트렌드가 아닌 TV 미디어 권력의 전환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 유통가, AI 전환에 장바구니까지 설계한다

온라인 식품시장에서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검색하던 시대를 넘어, AI가 장바구니까지 구성해주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유통기업들이 고도화된 AI 플랫폼을 잇따라 도입하는 가운데, 아마존은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Rufus'를 운영하며 고객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롯데마트의 고객 맞춤형 상품 추천을 통해 장바구니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서비스 'ZETTA', CJ제일제당의 건강 정보 기반 식품 추천 플랫폼 'Fai',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기반 개인화 쇼핑 서비스가 속속 출시되고 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AI가 장보기 여정을 설계해주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며 맞춤형 장바구니, 캘린더 연동 쇼핑 등 소비자 경험 전반의 변화 양상을 설명했습니다.

✔ 지상파 광고 여전히 크다
디지털 전성시대에도 지상파 방송광고가 가장 높은 효율성과 파급력을 보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IPTV 3사 실시간 시청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15초 동영상 광고 기준 광고 1,000회 당 노출 비용(CPM)이 유튜브 인스트림 약 8,000원, 넷플릭스 2만9,000원인 반면, 지상파 3사 광고는 평균 2,927원으로 대단히 낮았습니다. 지상파 중간광고는 단 1회 15초 광고만으로도 약 200만 가구에 동시 도달할 수 있는 국내 거의 유일한 광고수단이며, 콘텐츠별 조회수 편차가 큰 유튜브와 달리 안정적인 노출수가 보장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시청률 조사에서 0%로 집계되던 시간대에서도 실제로는 5만~9만 가구의 안정적 시청이 이뤄져 지상파 광고 효과가 과소평가됐을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 숏폼 뜨니 폰트·음원·편집툴 시장도 성장

숏폼 콘텐츠가 주류로 떠오르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창작 지원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리서치앤마켓츠는 글로벌 숏폼 관련 시장규모가 2021년 432억달러에서 2026년 1,350억달러로 연평균 25.6%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내 '산돌구름'은 세로형 화면 최적화 폰트를, '짤스튜디오'는 숏폼 전용 BGM을 출시해 '역주행 히트'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메타의 AI 편집 앱 '에디츠'는 출시 4일 만에 누적 710만 건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누구나 쉽게 숏폼을 제작할 수 있게 도왔습니다🎬 30초 영상이 폰트, 음원, 편집툴 등 수십 개 부가 산업을 견인하며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프론티어를 열고 있습니다.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