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D | 인사이트 | 뉴스레터
본문 바로가기

🐴 2026 트렌드 키워드 공개! 'HORSE POWER' 온다

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2026 트렌드 키워드 <HORSE POWER>
■ K뷰티, 노화 방어의 새 키워드 OOO 주목
■ 플레이디 25Y 3Q OOH 집행사례 모음
■ '즉시 결제' 도입한 챗GPT, 대화중 쇼핑 시동

2026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최근 『트렌드 코리아 2026』이 출간되며 내년도 트렌드 키워드가 공개됐습니다. 바로 "호스 파워(HORSE POWER)"인데요. 말이 상징하는 강인한 힘과 인간적 지혜가 결합된 켄타우로스처럼, 2026년은 AI와 인간이 협력하며 만들어내는 새로운 동력의 시대라고 정의합니다. 플레터가 바쁜 마케터분들을 위해 핵심 내용을 쉽고 간단하게 정리했는데요. 바로 살펴볼까요?💡


🐴 2026 트렌드 키워드 <HORSE POWER>

※ 출처 : 김난도 교수 '트렌드 코리아 2026' 서적


가장 주목할 키워드는 '휴먼인더루프(Human-in-the-loop)'입니다.

AI가 거의 모든 것을 생성하는 시대지만, 인간이 반드시 최소 한 번은 개입해야 한다는 원칙이죠. AI 시대의 승자는 빠른 기계가 아니라, 그 기계 위에서 '가장 현명한 질문을 던지는 인간'이라는 메시지입니다. 조직에서는 'AX조직'이 핵심으로 떠오르며 부서 간 칸막이를 허물고 AI 활용에 맞게 조직 구조 자체가 변모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행태도 급변합니다. '제로클릭'은 검색 이전에 알고리즘이 먼저 제안하고 소비가 무의식적으로 이뤄지는 현상으로, GPT 같은 답변 엔진에서 제품을 노출시키는 '답변 엔진 최적화(AEO)'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프라이스 디코딩'을 통해 소비자는 가격 구성 요소와 가치를 해독해 구매를 결정하며 더 이상 브랜드만을 맹신하지 않습니다.


'필코노미'는 감정을 소비로 전환하는 흐름으로 기분 자체가 돈이 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며, '레디코어' 세대는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밀한 준비에 집착합니다. 건강 관리는 '건강지능(HQ)'으로 진화하고, 가구 형태는 자율성과 연결을 동시에 추구하는 '1.5가구'로 변화합니다. '근본이즘'은 디지털로 예측되지 않는 안정적 가치를 찾으려는 흐름으로 나타납니다.


2026년에는 AI와 인간의 협력, 그리고 감정과 근본 가치를 중시하는 트렌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도 마케팅 전략 수립 시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가제트코리아 유심사 | OOH 캠페인
  • 유심사 e-SIM 홍보
  • 지하철 승객, 여행객 타겟 운영
  • 공항철도 차내 매체 집행
🌈 케이스티파이 | OOH 캠페인
  • 케이스티파이 캐리어 홍보
  • 대한항공 탑승객 타겟 운영
  • 대한항공 모닝캄 매체 집행
🧊 롯데칠성음료 | OOH 캠페인
  • 아이시스 리뉴얼 제품 홍보
  • 고속버스 터미널 이용객 타겟 운영
  • 서울 고속버스터미널 멀티브릿지 매체 집행
✔ '즉시 결제' 도입한 챗GPT, 대화중 쇼핑 시동
오픈AI가 챗GPT에 채팅창에서 즉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즉시 결제' 기능을 도입하며 AI 쇼핑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챗GPT가 제품을 추천해도 소비자가 직접 웹사이트로 이동해 구매해야 했지만, 이제는 미국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 제품을 챗GPT 내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오픈AI는 거래 건마다 수수료를 받으며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구글 제미나이는 '매주 금요일 우유 배달해줘' 같은 명령을 내리면 AI가 자동으로 결제 과정을 처리해주는 기능을 개발 중이며, 퍼플렉시티는 페이팔과 협력해 즉시 결제를 이미 도입했습니다. AI 추천 제품 실제 구매자가 2023년 52%에서 2024년 68%로 급증하며, 빅테크들의 AI 쇼핑 수익화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유튜브, 새 영상 플레이어 도입

유튜브가 영상 플레이어를 깔끔하고 몰입감 있게 개편하며 시청 경험을 대폭 향상시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화면 위 컨트롤과 아이콘을 개선해 시청 중 콘텐츠 가림을 최소화하고, 시각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버튼을 둥글게 처리하고 반투명 효과를 적용하는 등 세련된 디자인 요소가 포함됐으며, 모바일·웹·TV 모든 기기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더블탭 스킵 기능은 덜 방해되는 현대적 방식으로 개선되고, 댓글 답글 패널에는 집중된 읽기 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화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일부 영상에서는 '좋아요' 버튼 클릭 시 음표 같은 동적 애니메이션이 나타나는 기능도 추가돼, 유튜브가 사용자 경험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카톡 채팅방 키워드 광고 도입 예고
카카오톡 채팅방에 키워드 광고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쇼핑 서제스트' 기능을 통해 채팅방에서 특정 키워드 입력 시 말풍선에 하이퍼링크가 표시되고, 클릭하면 '카카오톡 쇼핑하기'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카카오가 사전 등록한 키워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사실상 채팅방 강제 광고로 볼 수 있습니다🛒 함께 추가된 '예약 서제스트'는 채팅방에서 바로 장소를 탐색하고 예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는 지난달 격자형 친구탭 도입으로 반발을 샀던 카카오톡의 수익화 전략 일환입니다. 모빌리티·뱅크·페이 등이 독립하면서 광고와 쇼핑에 수익을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됐고, 1인당 월평균 체류 시간도 2021년 822분에서 686분으로 감소하며 광고판 확대가 불가피해진 상황입니다📉
✔ 포화된 이커머스 시장, '생존전략' 전환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포화 상태에 접어들며 '성장 경쟁'에서 '생존 경쟁'으로 급격히 전환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은 2022년 10.3%에서 2024년 5.8%로 둔화됐고, 64.6%의 기업이 시장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쿠팡은 MAU 3422만 명으로 독주하며 영업이익 6,023억 원을 기록한 반면, G마켓·11번가·SSG닷컴·롯데온은 모두 적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둔화 속 편의점은 매출이 전년 대비 7~9% 증가하며 오프라인 반격이 본격화됐습니다. GS25의 PB 매출은 125% 급증했고, CU는 '헤이루' 브랜드를 20여 개국에 수출 중입니다. 국내 시장 포화로 쿠팡은 대만 시장에 재도전했고, 컬리는 미국에 '컬리USA몰'을 오픈하며 해외 진출로 출구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위로가기